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31

그래픽 디자이너_네빌 브로디(1) 영국의 그래픽 디자이너이자 타이포그라퍼인 네빌 브로디는 1980년대 그래픽 디자인계를 뒤흔들며 실험적 디지털 디자인의 대명사로 통하고 있다. 처음엔 화가가 되려고 혼시 예술대학에서 회화를 배웠다. 하지만 순수회화는 누구나 누릴 수 없음을 느낀 브로디는 런던 예술대학에서 그래픽 디자인을 배웠다. 하지만 브로디의 회화적 느낌이 묻어나는 디자인은 상업적이지 못하다고 교수들에게 인정받지 못하였다. 브로디는 대학 졸업 후 페티시 레코드 사에서 레코드 재킷 디자이너로 일을 시작하였다. 당시 영국 음악계는 펑크 음악이 주류를 이루어, 브로디에게 재킷 디자인은 오히려 자유롭게 회화적 감각을 펼칠 수 있는 해방구였다. 형식적인 디자인에서 벗어난 브로디만의 특별한 그래픽 디자인은 조금씩 사람들의 눈에 띄기 시작하였고, ‘.. 2023. 6. 18.
미국 그래픽 디자이너_밀튼 글레이저 MiltonGlaser(2) 3) 디자인으로 세상의 부조리를 작품에 표현 뉴욕 타임즈 아트디렉터인 마르코 일리치와 함께 이라크 전쟁을 비롯해 세상의 부조리를 고발하는 그래픽 작품들을 한 권의 책 을 출판 하였다. 정치, 사회, 문화, 경제적 부조리에 강력하게 반대하는 전 세계 디자인 작품들을 모아 이미지를 통하여 세상을 바라보게 하였다. 국경을 넘어 세계 각국의 시대저항적인 포스터, 도서, 배지, 잡지 등 다양한 분야의 작품을 400여 점 실었다. 장 별로 인종문제, 평화, 총기 규제, 종교, 이라크 전쟁, 평등, 여성 및 동성애자의 인권, 기업 세계 등 지구촌 곳곳에서 일어나는 민감한 사회문제를 다루고 있다. 각각의 작품들은 강렬한 색상과 상징적인 이미지를 통해 미국과 세계의 부조리와 실상을 해학적이며 충격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 2023. 6. 18.
미국 그래픽 디자이너_밀튼 글레이저 MiltonGlaser(1) 밀턴 글레이저는 미국 뉴욕을 중심으로 활동한 그래픽 디자이너이다. 1951년에 뉴욕 쿠퍼 유니언 미술대학 졸업 후 풀브라이트 장학금으로 이탈리아 볼로냐 미술대학에서 판화를 전공하였다. 1954년에는 동료들과 함께 푸쉬 핀스튜디오를 설립하였다. 푸쉬 핀 스튜디오는 르네상스 회화에서부터 만화 등 여러 종류의 그래픽의 이미지들을 이용하여 기발한 디자인을 창조해 낸 유명한 디자인 회사로 성장하였다. 글레이저는 20년간 몸담았던 푸쉬 핀 스튜디오를 떠나 밀턴 글레이저사를 독립적으로 설립하여 뉴욕 타임즈, 소니, 환경포스터, 음악 미술 포스터, 책 표지 등 여러 가지 디자인을 하였다. 글레이저는 디자인뿐만 아니라 디자인 교육에도 관심이 있었다. 글러이저가 만든 뉴욕의 비주얼 아트 스쿨은 미국의 디자인 교육 프로그램.. 2023. 6. 18.
그래픽 디자이너_허브루발린(2) 3) 이음문자를 써 로고를 표현하거나 복잡.반복 부분을 없애 함축적으로 표현 원리 리거추어는 대문자와 소문자, 그리고 소문자끼리 이어서 글자를 표현하였는데 최고로 대문자끼리 이음글자로 표현하여 로고타입을 제작하였다. 루발린의 여러 로고 작품들은 리거추어과 축약기법이 한꺼번에 표현되었다. 특히 루발린의 축약기법의 특징은 복잡하거나 반복되는 부분을 없애 글자체 구성을 간단하며 함축적으로 표현하였다. ‘U&lc’지에 로고로 대문자 U와 소문자 lc가 &에 의해 서로 연결되도록 표현하였다. &을 밑으로 보내어 글자간의 구분되도록 하였고, 마치 &가 양 쪽 글자들을 끌어당기는 것처럼 보이게 표현하였다. 아방가르드지의 타이틀페이지에서는 아방가르드의 로고로 대문자와 소문자를 같이 결합시켜 리거추어로 AVA처럼 병렬되.. 2023. 6. 18.
그래픽 디자이너_허브루발린(1) 대중에게 많은 사랑을 받았던 뉴욕의 타이포 그래픽 디자이너 허브 루발린은 글자와 이미지를 합성하여 디자인을 표현하기로 유명하다. 어렸을 때는 평범한 학생으로 왼손잡이, 색맹이라는 신체적 약점을 지닌 소극적인 학생이었다. 공부도 잘하는 편은 아니어서 쿠퍼 유니온 미술대학 입학 당시 64명 중 꼴찌로 들어갔다고 한다. 대학성적도 그다지 뛰어나지 않았던 루발린에게 있어 큰 전환점이 된 것은 캘리그래피로 책을 만드는 강의를 들으면서다.. 캘리그래피는 펜촉의 각도 때문에 오른손으로 그려야만 제대로 된 글자가 나온다. 교수는 왼손으로 글씨를 쓰는 루발린의 모습을 보고 오른손으로 쓰길 권했고, 그 뒤 노력하는 모습을 보이는 루발린에게 학기말 최고 점수를 주었다. 이 일을 계기로 디자인에 흥미를 가지게 되었고 루발린은.. 2023. 6. 17.
그래픽 디자이너_얀 치홀트(2) 2. 작품의 특징 치홀트에게 있어 신 타이포그래피는 단순히 형태로서의 미학적인 문제만이 아닌 시대정신이 반영된 사회적, 윤리적 문제였다. 그 원리의 기본 개념은 텍스트의 성격과 기능으로부터 시각적 형태를 끌어내는 데에 있으며 약 7가지의 특징으로 구분하여 설명 할 수 있다. 1) 기능적인 타이포그래피 치홀트의 디자인 목적은 가장 솔직한 방법에 의한 기능적인 디자인이었다. 그는 모든 타이포그래피 작업의 목적은 가장 짧고 효과적인 방식으로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이라고 하였다. 이는 뉴 타이포그래피라고 명명되어졌고, 치홀트의 저서를 소개한 책자에서 설명되었다. 뉴 타이포그래피는 전달의 기능에 중점을 두었고, 합리적인 디자인이 되도록 장식은 배제되었다. 2) 장식이 배제된 타이포그래피 그는 “기능적인 디자인은 장.. 2023. 6. 1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