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31 그래픽 디자이너_얀 치홀트(1) 비대칭 레이아웃은 신 타이포그래피 이론의 핵심이다. 비대칭 레이아웃에서 느껴지는 리듬감은 단조로운 기능적 디자인을 보완하는 율동적 표현이다. “비대칭 레이아웃은 신 타이포그래피 이론의 핵심이다. 비대칭 레이아웃에서 느껴지는 리듬감은 단조로운 기능적 디자인을 보완하는 율동적 표현이다.” 얀 치홀트는 독일의 라이프치히에서 간판 화가이자 레터링 디자이너의 큰 아들로 태어났다. 그 당시 라이프치히는 인쇄와 출판업이 발달한 타이포그래피 문화의 중심지였는데 그의 레터링과 타이포그래피의 열정은 이러한 환경 속에서 자연스럽게 형성될 수 있었다. 그는 17세부터 그래픽 아트와 서적 제작 아카데미에서 서예와 제본 등의 기술을 배웠고 이후 드레스텐 미술공예학교와 라이프치히 아카데미에서 레터링을 배우며 동시에 학생들을 가르치.. 2023. 6. 17. 그래픽 디자이너_폴 랜드(2) 그는 마지막 저서 에서 이렇게 말했다. “좋은 디자인은 결코 유행에 뒤지거나 오래된 것처럼 느껴지지 않으며-보는 즉시 어떤 특정한 스타일을 의식하지 않게 한다. 본질적으로 예술작품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끊임없이 새로워지기 때문에 세월의 흔적을 감추게 된다.” 이러한 ‘디자이너로서의 삶’은 훗날 랜드로 하여금 디자인 교육과 이론의 차원에서 ‘경험미학의 정립과정’으로 이어졌다. 그는 1970년대 초 잠시 대학을 떠나 있던 시기를 제외하곤 1956년부터 운명하기까지 줄곧 예일 대학에서 후진들을 양성했다. 1966년 그는 미국 그래픽아트 인스티튜트 금상을 수상했고, 1972년 뉴욕 아트디렉터 클럽에서 ‘명예의 전당’상을 수상했다. 또한 필라델피아 미술대학에서 미술학 명예박사를 받았다. 2. 작품의 특징 1) 상.. 2023. 6. 17. 그래픽 디자이너_폴 랜드(1) 상징에는 예술가의 모든 것이 담겨 있다. 또한 상징은 가치와 존재 이유를 포함한다. 상징은 예술가와 관람자 사이의 공통 언어이다. “상징에는 예술가의 모든 것이 담겨 있다. 또한 상징은 가치와 존재 이유를 포함한다. 상징은 예술가와 관람자 사이의 공통 언어이다.” 폴 랜드는 미국의 기업 로고 디자인으로 유명한 그래픽 디자이너이다. 1914년 브루클린에서 태어난 그는 거리의 간판과 만화책을 통해 디자이너의 흥미와 재능을 키워 나갔다. 훗날 그의 본격적인 디자인 공부는 1929년에서 1932년 사이에 브루클린의 프랫 인스티튜트와 1932년엔 맨해튼의 파슨스 스쿨 오브 디자인에서 계속 되었다. 그러나 그 당시 미술과 디자인 교육은 보수적이고 전통적인 것에 머물러 있어 그의 왕성한 배움의 욕구를 채워 주지 못했.. 2023. 6. 17. 그래픽 디자이너_볼프강 바인가르트 볼프강 바인가르트는 1941년 독일 콘스턴스에서 태어나 스위스 바젤에서 레터링교육을 받았다. 1968년 바인가르트는 아르민 호프만이 교수로 재직하고 있던 바젤 미술 공예학교의 교수가 되었는데 그때 당시 타이포그래피는 절대적인 질서와 명료함을 생명으로 하는 것이 특징이다. 바인가르트는 이러한 질서 정연하게 나열되었던 기존의 기능주의 타이포그래피를 해체하고 나아가 조형요소에 충실한 새로운 형식의 타이포그래피를 만들어 냈다. 현재 그는 스위스 타이포그래피를 정리 및 완성한 인물로 평가받고 있으며 특히 '활자적 공간의 해체'라는 독특한 실험으로 타이포그래피의 정의를 새로 내린 인물이다. 1968년 바젤스쿨 교수로 부임한 이래 지금까지 그의 실험정신과 교육에 대한 열정은 세계 곳곳의 수많은 디자이너들이 그를 찾게.. 2023. 6. 17. 그래픽 디자이너_엘 리시츠키 엘 리시츠키는 1890년 11월 러시아 스몰렌스크 풀시녹 출신으로, 유년시절을 러시아에서 보냈다. 유독 토목과 건축에 관심이 많던 엘 리시츠키는 러시아를 떠나 독일의 담슈타트 대학에서 건축학을 전공하였다. 하지만 마르크 샤갈에 큰 감명을 받게 되면서 그림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당시 비테프스크에 있는 미술학교 교장이었던 샤갈은 리치스키를 자신의 학교의 교수로 초빙하였다. 그 곳에서 절대주의 운동의 창시자이며 화가인 카지미르 세베리노비치 말레비치의 영향을 받아, 기하학적 추상화 연작으로 만들어진 ‘프라운’으로 구성주의 운동에 기여했다. 리시츠키는 1921년 모스크바 실험적 디자인인 교수가 되었지만, 그 해 말 소비에트 당국이 모더니즘 미술에 등을 돌리면서 독일로 떠나게 된다. 8년 뒤인 1929년 다시 .. 2023. 6. 17. 그래픽 디자이너_테오 판 두스부르흐 네덜란드 화가이자 시인이며 건축가. 본명은 C.E.M. 퀴퍼. 몬드리안과 함께 데 스틸을 결성했으며 그 잡지의 편집인이다. 현대 예술운동 일반에 대한 정력적인 선전가였고 1920년대에는 산업 디자인 발전에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하였다. 본명은 크리스티앙 에밀 마리 퀴퍼이다. 1883년 네덜란드의 유트레히트에서 태어나 1931년 스위스 다보스에서 사망했다. 1908년 헤이그에서 인상주의 회화로 첫 전시회를 가졌으며 1913년에는 시집을 출판했다. 1914년에서 1916년 군복무 중 칸딘스키의 를 읽고 추상 미술로 전환하였으며 그 후 몬드리안의 작품을 접하고 회화의 이상을 발견하게 되었다. 1. 주요활동 1917년 몬드리안을 비롯한 반통걸로, 코크, 리히터, 우드, 리트벨트등과 데 스틸을 결성하고 같은 이름의.. 2023. 6. 17. 이전 1 2 3 4 5 6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