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esign

그래픽 디자이너_허브루발린(1)

by day day day 2023. 6. 17.
반응형

대중에게 많은 사랑을 받았던 뉴욕의 타이포 그래픽 디자이너 허브 루발린은 글자와 이미지를 합성하여 디자인을 표현하기로 유명하다. 어렸을 때는 평범한 학생으로 왼손잡이, 색맹이라는 신체적 약점을 지닌 소극적인 학생이었다. 공부도 잘하는 편은 아니어서 쿠퍼 유니온 미술대학 입학 당시 64명 중 꼴찌로 들어갔다고 한다. 대학성적도 그다지 뛰어나지 않았던 루발린에게 있어 큰 전환점이 된 것은 캘리그래피로 책을 만드는 강의를 들으면서다.. 캘리그래피는 펜촉의 각도 때문에 오른손으로 그려야만 제대로 된 글자가 나온다. 교수는 왼손으로 글씨를 쓰는 루발린의 모습을 보고 오른손으로 쓰길 권했고, 그 뒤 노력하는 모습을 보이는 루발린에게 학기말 최고 점수를 주었다. 이 일을 계기로 디자인에 흥미를 가지게 되었고 루발린은 다른 과목에도 열의를 보이며, 졸업할 때는 최고 성적을 거두게 되었다. 작은 스튜디오에서 경력을 쌓은 루발린은 1945년 약품광고 전문 에이전시인 서들러 앤드 헤너시에 아트 디렉터가 되었을 무렵 제약회사들은 2차 세계대전으로 인해 여러 가지 약품을 팔기 위해 광고를 만들어 홍보하였다. 그 중 루발린이 기획한 약품 광고 디자인은 사람들의 이목을 끌면서 디자인의 대가라는 평판을 듣게 되었다.

허브 루발린, 사운드 오브 뮤직(Herb Lubalin, The sound of music) 1965

1. 주요활동

1930년대 미국의 광고 디자인들은 전반적인 레이아웃의 어울림을 보기보다는 문안작성을 중요시 여겼다. 하지만 유럽의 디자이너들이 제2차 세계대전을 피해 미국으로 넘어와 자신들의 디자인을 선보였고, 그것을 본 미국의 디자이너들은 자신들의 작업에 적용시키며 미국의 디자인 양상은 점점 변하였다. 그들이 디자인한 그림과 글자의 이미지가 합성된 디자인은 대중들에게 시각적이고 감정적인 충격을 주었다. 그중 두각을 나타낸 루발린은 처음에 소규모 스튜디오 광고 분야 디자인을 맡았고, 45년에는 서들러 앤드 헤너시스튜디오의 아트디렉터로 일하였다. 루발린의 디자인은 사람들에게 사랑을 받았고 서들러 앤드 헤너시사는 공로를 인정해 ‘서들러 앤드 헨허시 앤 루발린사로 회사명을 변경하였다. 1964년 루발린 자신의 회사 허브 루발린을 차려 로고, 북 디자인, 포스터, 껌이나 참치 제품의 포장, 편집, 또는 산업체 등에 쓰이는 글자 디자인을 하였다. 1970년에는 친구 아론번즈의 활자회사의 부사장이 되었다. 이 활자회사는 디자이너들에게 로열티를 주어 새롭고 멋진 디자인의 활자체를 보유하였다. ITC는 자신들의 활자 디자인을 널리 알리기 위해 U&Ic라는 잡지를 발행하였고 디자인은 루발린이 맡았다. 타이포그래피에 관한 당대 최고의 천재라 격찬을 받았던 루발린은 1981년 암으로 세상을 떠나기 전까지 사회를 위하여 자신의 재능을 쏟아부었다..

2. 작품의 특징

루발린은 글자의 의미를 생각해 마치 그림 그리듯 표현하는 것이 특징이다. 특히 대문자 ‘O’안에 이미지를 담는 걸 좋아했다. 문자와 이미지의 유사성을 찾아 문자가 이미지가 될 수 있고, 그 이미지가 문자가 되도록 표현하였다. 또한 사진과 일러스트레이션을 타이포에 도입하여 이미지화시켰으며 글자를 조화롭게 연결시키거나 불필요한 부분은 단순화, 또는 생략해서 표현하는 등 문자의 형상성을 중요시 여겼다.

 

1) 문자의 특저 부분을 대신하여 비슷한 이미지로 대신하거나 외형을 바꿈

문자의 자리에 다른 글자 혹은 이미지를 넣어서 보는 사람에게 문자와 유사성을 발견하도록 디자인하였다.. 문자 자체를 변형시켜 언어적 요소와 시각적 요소를 일치시켜 의미적으로 유사한 부분을 찾아 시각적 효과를 유발하기 위한 표현 방법이다. Mother and Child는<커터스>사의 로고타입으로 ‘&’‘O’에 들어가 마치 태아처럼 보이게 이미지화하였다. 이 로고는 수많은 상을 수상했으며 뉴욕 현대 미술관에 영구 소장 되었다. 그러나 이 잡지로고는 불행하게도 출간되지 않았다. Marriage는 <스테틀러><스테들러> 활자체를 널리 알리기 위한 포스터에 쓰인 로고로 결혼이라는 단어가 두 개의 R을 연결시켜 마치 한 쌍의 남녀 같이 형상화하였다. ‘Families’는 잡지로고 그중‘ili’를 가지고 부모와 아이들 모습으로 형상화하였다.. 옹기종기 모여 얘기를 나누는 듯한 가족의 분위기를 잘 표현하였다. 또한 활자 특정 부분에 형태적으로 유사성이 있는 이미지를 문자와 바꾸어 놓았다.

2) 문자와 일러스트 혹은 사진을 조화시켜 메시지를 전달

문자들이 갖는 각각의 고유의 형태를 유지하면서 문자와 일러스트를 합성하여 표현하였다. 문자형태의 유사성에 기인한 일러스트와 문자의 조합은 메시지의 전달을 강화시킨다. 미국 AIGA후원으로 열린 전시회에서 선보인 반전 포스터는 단어 ‘left’에 벌레를 조합함으로 ‘right’의 의미와 대비시켜 전쟁에 대한 강한 메시지를 표현하였다. 잡지 할렘 인 마의 마인드에서는 펼 친면에 숫자 안에 흑인의 사지을 넣어서 기획의 뜻을 강조하였다. 이 작품은 20세기 산업사회에서 도시의 흑인문화를 구축하기 위한 투쟁을 기록한 것으로 뉴욕의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에서 열린 전시를 위해 제작되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