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 리시츠키는 1890년 11월 러시아 스몰렌스크 풀시녹 출신으로, 유년시절을 러시아에서 보냈다. 유독 토목과 건축에 관심이 많던 엘 리시츠키는 러시아를 떠나 독일의 담슈타트 대학에서 건축학을 전공하였다. 하지만 마르크 샤갈에 큰 감명을 받게 되면서 그림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당시 비테프스크에 있는 미술학교 교장이었던 샤갈은 리치스키를 자신의 학교의 교수로 초빙하였다. 그 곳에서 절대주의 운동의 창시자이며 화가인 카지미르 세베리노비치 말레비치의 영향을 받아, 기하학적 추상화 연작으로 만들어진 ‘프라운’으로 구성주의 운동에 기여했다. 리시츠키는 1921년 모스크바 실험적 디자인인 교수가 되었지만, 그 해 말 소비에트 당국이 모더니즘 미술에 등을 돌리면서 독일로 떠나게 된다. 8년 뒤인 1929년 다시 모스크바로 돌아온 리시츠키는 공간구성의 실험을 통해 판화, 포토 몽타주, 건축 등에 쓰이는 새로운 기법을 계속 연구 발표 하였다. 러시아에 돌아오기 2년 전 폐결핵에 걸려 이후 18년간이나 투벼 생활을 하였고, 독일이 러시아를 침공한 지6개월 만인 1941년 12월에 사망하였다.
1. 주요활동
비테프스크 미술학교의 교수이며, 절대주의 화가인 카시미르 말레비치의 영향을 받아, 실험적 디자인인 프라운을 시도한다. 프라운은 절대주의와 구성주의 요소를 통합하여, ‘건축과 회회의 교차점’인 동시에 비구상 표현의 효시가 되었다. 타이포그래피에 매력을 느낀 리시츠키는 자신의 포스터와 책 표지에 이를 도입하였다. 이때 만든 작품으로는 내란 때 제작한 반전 포스터인 “적색 쐐기로 백색을 공격하라” 뒤를 이어 제작된 절대주의자들의 이야기인 두 사각형을 1920년에 비테프스크에서 작업하여 2년 뒤 베를린에서 출판하였다. 1920년 초기 소비에트 정부는 새로운 러시아 예술에 대해 잘려 정책을 폈고, 심지어 국제적인 저널을 통해 선전하고자 했다. 리시츠키는 에렌부르크와 함께 1922년 초 “새로운 구성주의”를 알리기 위하여 삼개국어로 발행된 정기간행물인 <베시치(러시아어)>,<베시치(러시아어 <게겐슈탄트(독일어)>, <오브제(프랑스어)>창간호를 공동 출판하였다. 폭넓은 저술 활동과 강연을 하는 와중에도 바우하우스를 방문하여 반데스부르크, 모홀리나기, 슈바터스 등과도 교류하였다.
2. 작품특징
1) 삼차원적인 환영을 가진 프라운 개발
리시츠키는 새로운 회화 스타일을 개발하여 프라운-‘새로운 예술의 창립을 위한 실시 계획안’이라는 뜻의 머리글자고 명명하였다. 리시츠키는 ‘프라운’을 회화와 건축간의 교차점이라고 불렀으며, 이것은 건축학적 개념들을 회화와 종합하였다는 것을 의미할 뿐 아니라 프라운이 형태 및 공간에 대한 현대 회화의 개념들을 응용미술에 어떻게 적용시킬지 그 방법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것은 그가 1919년에 제작한 포스터 <적색 쐬기로 백색을 공격하라>에서 잘 나타난다. 화면은 흰색과 검정색 영역으로 나뉘어 역동적인 공간이 되고 있다. 절대주의자들의 디자인 요소들은 거의 문맹에 가까운 농부들도 이행할 수 있는 정치적 상징주의로 변형되었다. ‘백색’ 의 카렌스키 세력에 대항하는 ‘적색’의 볼셰비키는 흰색 원으로 치고 들어가는 적색 쐐기로 상징화되었다.
2) 역동적인 사선에 비대칭적인 요소들을 균형 있게 표현
‘베시치’의 창간호 표지는 리시츠키가 어떻게 자신의 디자인들을 역동적인 사선의 축 위에서 페이지의 상단에 무게가 주어진 비대칭적 요소들을 가지고 균형을 이루게 하였는지 모여 준다. 리시츠키와 에렌부르크는 러시아가 혁명에 의해 피로 얼룩지고 유럽이 전쟁으로 황폐화되었던7년이라는 단절된 기간동안 예술과 디자인 분야는 같은 방향을 향해 그러나 각각 독립적으로 발전되어 왔다는 사실을 인식하였고 ‘베시치’가 각 나라의 새로운 예술 작업들의 만남의 장소가 될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3) 규격화된 구조와 수학적인 질서를 표현하여 그리드로 표현
<브룸>의 표지 레이아웃은 규격화된 구조와 그의 디자인 위에 수학적 질서를 부여해 주는 그래프용지를 사용하여 레이아웃을 연습하는 리시츠키의 습관을 보여준다. <예술의 이즘,1914 ~ 1924>라는 책에 대한 리시츠키의 포맷은 정보를 체계화하기 위한 시각적 계획을 창출해 내는 데 중요한 일보였다. 제목 페이지에 사용된 수평의 3단 그리드 구조, 본문 페이지의 3단의 수직 그리드 구조, 목차 페이지으 2단 구조는 48페이지에 이르는 회화적 일러스트레이션의 포트폴리오 페이지를 짜 맞추기 위하, 건축으로 말하자면 골조가 되었다. 비대칭의 균형, 음영의 하프톤 처리 그리고 흰색 공간이 주는 예민한 감정 역시 중요한 디자인 관점들이었다.
'design'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래픽 디자이너_폴 랜드(1) (0) | 2023.06.17 |
---|---|
그래픽 디자이너_볼프강 바인가르트 (0) | 2023.06.17 |
그래픽 디자이너_테오 판 두스부르흐 (0) | 2023.06.17 |
그래픽 디자이너_ 요셉뮬러 브로크만 (0) | 2023.06.16 |
그래픽 디자인_그밖의 요소 (0) | 2023.06.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