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esign

그래픽 디자인_선

by day day day 2023. 6. 16.
반응형

1. 선의 기본요소

점을 이용한 연습에서부터 선은 이미 중요한 연결고리 역할을 했다. 떨어진 두 개의 점을 연결하면 점은 더는 보이지 않게 된다. 즉 가상의 것이 된다. 점이 다른 점을 선형으로 따라가면 독자적인 힘이 나타난다. 다시 말해 종이에 연필을 그으면 인식되지 않을 정도로 작은 점들로 이뤄진 선이 나타난다. 특히 붓과 드로잉 펜 같은 적절한 도구를 사용해야만 잉크로 조밀한 선을 만들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선이 움직이는 점의 가시적 흔적이라는 사실을 기억해야 한다. 따라서 선은 점에 의존하며, 점은 선의 기본 요소가 된다. 움직임은 선의 실제 영역이다. 중심에 있어 그에 묶여 있는 정적인 성격의 점과 달리, 선은 본질적으로 동적이다. 선은 중심에 얽매이지 않고 어느 방향으로든 무한히 계속될 수 있다. 그렇지만 선을 기본 요소로 간주하는 것은 선의 형성 과정이 단지 과정으로 인식되지 않기 때문이다.

 

2.선의 이해

선은 과정이 완료된 요소다. 점의 구조와 분석에 중요한 요소라면 선은 구성에서 중요하다. 선은 결합하고, 연계하고, 지탱하고, 떠받치고, 뭉치고, 서로를 보호한다. 선들은 교차하고 분기한다. 가장 단순한 선의 배열은 수직 또는 수평 그리드다. 가는선이 일정한 간격으로 반복되면 각각의 선을 더는 식별할 수 없고 하나의 회색면으로 보이는 효과가 발생한다. 이것은 각각의 점이 병합하면서 분리된 존재가 균일한 덩어리로 합쳐지는 방식과 유사하다. 그리드에서 각 선을 제거하면 다른 평면에 새로운 선들이 나타난다. 이것은 본질적으로 동일한 가치의 두 가지 성질, 즉 검은 선과 흰 선이 그리드에서 상호의존적으로 작용한다는 사실을 말해준다. 두 개의 검은 평행선 사이에는 제3의 흰 평행선이 만들어진다. 모든 디자인 작업에서 가장 중요한 대립항인 음과 양의 관계가 자동적으로 발생하는 것이다. 검은 선의 부산물로 발생한 흰 선은 이 공간을 만드는 요소만큼이나 중요하다. 두 선 사이의 간격을 계속해서 늘리고, 선의 두께를 서서히 두껍게 하고, 선을 위나 아래로 멀어지게 하거나 기울인다. 이 모든 것은 단순하다는 이유로 우리의 의식에서 잊힌 기본적인 지식을 상기시킨다. 점과 마찬가지로 선이 늘어나도 그 성질을 변하지 않는다. 그러나 점은 아무리 커져도 우리 눈에 그대로 점으로 보이지만, 선은 늘어나면 시야에서 빠르게 벗어난다. 선이 길이에 비해 너무 두꺼워지면 눈은 선을 평면으로 받아들인다. 그 선은 길이와 너비의 관계적 측면에서 심리적으로만 파악된다. 선은 점보다 거리의 영향을 받기 쉽다. 작은 점과 마찬가지로 가는 선은 세상에 적합하지 않다. 선이 무한히 길어진다고 해서 톤과 색상의 표시 영역이 넓어지지는 않는다. 선이 색을 띌 정도로, 그래서 선으로 유지될 정도로 두꺼워지려면 가시 범위 이상으로 충분히 확장해야 한다. 검은 선은 얇아질수록 강도가 약해져 회색으로 변한다. 흰 선은 길어질수록 검은 바탕에 저항하고 얇아질수록 밝아진다. 선으로 된 디자인을 복제할 때는 목판, 리놀륨판, 에칭이 적합하다. 이들 기법에서 스이는 재료와 도구가 선으로 구성된 디자인에 특히 잘 맞는다. 목판과 리놀륨 판에 새겨진 선은 인쇄물에서 네거티브(검은 바탕위의 흰색)로 나타난다. 흰 바탕 위에 검은 선을 만드는 과정은 좀 더 복잡하다. 에칭 인쇄의 선을 만드는 과정은 목판, 리놀륨 인쇄와 기본적으로 동일하지만, 포지티브(흰 바탕 위의 검은색)의 선을 만든다. 에칭은 다른 어떤 인쇄 기술보다 섬세한 선을 만드는데 적합하다. 매끄러운 석판, 오프셋 판, 그리고 필름은 선을 만들 때 저항을 최소화한다.. 선으로 구성된 디자인은 붓이나 펜으로 쉽게 그릴 수 있다. 도구 자체는 선의 두께 조절이나 선을 그리는 속도에 제한을 주지 않는다. 이 모든 복제 방법은 최신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낡은 방식이 되었다. 그렇지만 오늘날 디자인을 공부하는 사람들은 이를 통해 끊임없이 복잡해지는 복제 분야의 기본 방식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기본적인 인쇄 기술에서 선 이외의 부차적이고 불필요한 장식은 생략해야 한다. 선의 가장 순수한 표현, 말하자면 본질적인 표현은 다른 이미지 요소와 마찬가지로 인쇄 기술을 염두에 두고 그 재현을 구상할 때 가장 성공적으로 이뤄진다.

 
반응형